스튜어디스 기내업무 관련 용어 모음
[국내+국외] 스튜어디스 기내업무 관련 용어 모음
Home port flight
거주지로의 비행
Out port flight
거주지에서 다른 지역으로의 비행.
Double flight
국내선의 경우 왕복 비행 스케쥴을 말한다. 예를 들어 서울 - 부산 간 1일 왕복비행.
Call button
승객들이 승무원을 호출하는 버튼.
Cockpit crew
기장이나 부기장, 엔지니어를 포함한 운항 승무원.
Galley
갤리는 비행기 내에서 커튼이 쳐져있는 곳으로, 주방에 해당된다. 갤리 내에는 음식이 담긴 이동식 기내카트(cart), 기내식을 데우는 오븐, 커피 메이커 등이 갖추어져 있다.
Stand-by
결원이 발생했을 때를 대비해 지정된 장소에서 대기하는 것으로, 승무원 대기실에서 공항 대기(airport stand-by)와 집에서 기다리는 자택 대기(home stand-by)로 나누어진다. 자택대기는 한달에 평균 2~3일 정도 되는데, 보통 전날 저녁까지 스케쥴 변경이 없으면 그날은 자유시간을 갖게 된다.
특히 공항 대기시에는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서 장거리 비행준비도 미리 해 주어야 한다.
Lay over
비행 후 또는 해외 체류지에서의 휴식시간.
Perdium
퍼듐은 해외 체류시 식사, 교통, 관광 등에 필요한 체류비로, 비행할 때마다 지급 받는다.
Pick-up bus
승무원 전용버스로, 브리핑을 마치고 나서 짐을 갖고 탑승하여 국제선 청사로 이동한다.
OJT(on the job training)
신입 훈련과정을 마치고 나서 3~4개월 정도 국내선에서 근무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 기간동안 신입 승무원들은 선배 승무원으로부터 서비스 태도나 비상장비에 대한 지식, 서비스에 적합한 용모와 복장을 갖추었는지 등에 대해 매 비행시마다 평가 받는다.
Duty code
승무원들은 각자 업무를 할당을 받고 나면 그 업무명에 따라 수행해야 할 임무를 파악한다. 각 승무원들이 받는 duty code는 서비스 담당 구역 뿐만 아니라 업무의 할당과 그에 따른 책임까지 포함하는 것이다.
Flight bag
스튜어디스가 항상 지니고 다니는 가방으로 반드시 유니폼을 입었을 때만 휴대가 가능하므로 유니폼과 함께 회사에 있는 개인용 로커에 두고 다닌다.
Hanger
짧은 일정으로 일본이나 국내 지방 도시에 머무를 때 사용한다. 가벼운 소지품을 넣어가지고 다니기에 적합하여 승무원들이 애용한다.
Appearance check
당일 근무 담당자인 고참 승무원에게 용모 및 복장에 대한 점검을 받는 것을 말하는데, 보통 브리핑 시작 전에 실시된다. 주로 유니폼의 청결 상태나 구김정도, 앞치마나 기내화의 청결도, 머리손질 상태, 손톱 상태등을 철저히 점검한다.
Show up
그날의 비행을 위한 준비를 완전히 갖춘 상태에서 리스트에 있는 자신의 이름에 서명을 하는 것.
Miss flight
비행 시간에 늦는 경우
Bunk
장거리 비행중에 승무원들은 비행기 뒷부분에 위치한 이 곳에서 교대로 쉴 수 있다. 벙크 안에는 2층 간이 침대가 마련되어 있고, 그외 비상장비도 준비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