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비평용어] 감정이입 - 공감
한 예술 작품을 대할때 그것과 우리 자신을 동일시 하는 것을 강정이입이라 한다
예를들어 한 독자가 소설의 주인공과 자기를 동일시 하여
그 주인공이 웃었다는 대목에 이르러서는 자기도 같은 마음에서 따라 웃는 것
또는 배우의 무섭게 찡그린 얼굴을 보면서
관객이 자기도 모르게 일굴을 찡그리는 것 등은 다 감정이입의 결과이다
독일의 헤르만 로체가 1858년에 처음 예술과 연관시켜
<아인퓔룽>이란 말을 썼고
후에 테오도르 립스가 예술 이론으로 정립시켰는데
그들에 의하면
수사학에서의 의인법 비유등은 모두 감정이입의 결과라는 것이다
예컨대 <내마음은 촛불이요>에서
시인은 자기의 정서를 촛불에 옮겨 넣고 있다
공감은 주로 인간끼리
또는 인격이 부여된 상상적인 행위자에게 동류의식을 갖는 것을 뜻한다
즉 <햄릿>을 보면서 내가 감정적으로 햄릿이 되는 것이 아니라
제삼자로서 그의 고민을 동정하고 불쌍히 여기는 감정이
곧 공감인 것이다
감정이입이 주체과 객체를 결합시키는 것이라면
공감은 나란히 서게 하는 것이다
공감의 능력이 없으면 작품을 읽을수 없다
작중 인물들은 대개 공감 또는 반감을 사도록 되어 있으며
그들에게 얼마나 옳게 공감하고 또 얼마나 바르게 반감을 가지는가가
독자의 질의 척도가 될수 잇다.
이로써 미루어 보면 공감은 다분히 지적이고 사상적인 것인반면
감정이입은 육체적이고 본능적이다
작품의 전달을 위해서
위의 두가지는 다 필요한데
감정이입에 역점을 두는 작가는
암시성이 강한 말을 골라 구체적이고 세밀한 묘사에 치중할 것이고
공감에 역점을 두는 작가는
인간본연의 성격을 부각시키려 할것이다.
'•─‥‥문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사 (0) | 2009.11.21 |
---|---|
[문학비평용어] 역설 (paradox) (0) | 2009.11.21 |
[문학비평용어] 상징주의 (0) | 2009.11.21 |
[문학비평용어] 감수성 (0) | 2009.11.21 |
매너리즘 mannerism (0) | 2009.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