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론

수사법---5.비교법/대조법/억양법/예증법

글길_문학 2009. 11. 21. 14:07

 

[비교법]

성질이 비슷한 두 가지의 사물이나 내용을 서로 비교하여 그 차이로서 어느 한쪽을 강조하는 방법이다. 흔히 '∼만큼', '∼보다', '∼처럼', '∼같이' 등의 비교격 조사를 사용한다.

(예)

1.너의 넋은 수녀보다도 더욱 외롭구나!

2.봄날 뻐꾹새 노래가 이 목소리마냥 가슴 죄게 했을까?

3.아! 강낭콩꽃보다도 더 푸른/ 그 물결 위에/양귀비꽃보다도 더 푸른 / 그 마음 흘러라. <변영로의 '논개'에서>

*참고... 직유와 비교의 차이
비교법과 직유법을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직유법이 'A like B'의 형태라는 생각에서 '∼같이', '∼처럼' 등의 연결어만 있으면 직유로 생각하기 쉬운데, 예외의 경우가 있다.

㉠ 영희는 순희처럼 예쁘다.
ⓐ ⓑ

㉡ 영희는 꽃처럼 예쁘다.
ⓐ ⓑ

㉡은 ⓐ를 ⓑ에 비유하였기 때문에 직유법이 성립된다. 그러나,㉠은 ⓐ를 ⓑ에 비유한 것이 아니고 서로 대등한 자격으로서의 비교이다. 비유는 ㉡의 ⓐ와 ⓑ의 관계처럼 전혀 다른 사물끼리 공통적 속성을 연결시켜 나타내는 방법이다.

[대조법]

서로 반대되는 내용을 맞세워 강조하거나 선명한 인상을 주려는 방법이다. 장단(長短), 강약(强弱), 광협(廣狹) 등으로써 대조되는 내용의 단어나 구절을 대립시켜서 표현하는 방법이다.

① 단어의 대조

*지식을 전하는 책은 지식이 발달함에 따라서 잊혀지지만, 진실한 사상과 보편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문학은 그 생명이 영구하다.

8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② 의미의 대조

* 우리들의 반짝이는 미소(微笑)로도 이 커다란 세계를 넉넉히 떠받쳐 나갈 수 있다는 것을 믿게 해 주십시오 (미소(인간성)와 이 커다란 세계(현대의 문명 사회)의 대조)

* 산천은 의구(依舊)하되 인걸은 간데 없다.(세상사의 무상함과 불변의 자연과의 대조).

* 푸른 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야 난 적은 길을 걸어서 참어 떨치고 갔습니다.푸른 산빛(님이 있는 존재의 상황)과 단풍 나무 숲(님이 없는 무의 상황)의 대조

③ 색상의 대조

* 가라미 파라니 새 더욱 해오(푸른색과 흰색의 대조).

* 푸른 버들에 노랑 꾀꼬리가 운다(푸른색과 노란색의 대조).

④ 감각의 대조

들을 제난 우레러니 보니난 눈이로다 (청각과 시각의 대조).


[억양법]


칭찬하기 위하여 먼저 내려깎는다든지, 내려깎기 위하여 먼저 칭찬한다던지 하는 표현 방법

(예)

1.세상은 차다지만 나는 찬 줄을 모른다.

2.얼굴은 곱지만, 속이 얕다.

3.사람은 착하지만 변변치 못해.

4.한국의 주지시는 반낭만주의적 처지에서 '방법의 지각'을 가지려했다는 것은 시사상(詩史上)의 획기적인 일이다. 그러나 방법의 기초가 되는 인생관과 세계관에 대한 인식이 없었다.

[예증법]

말하고자 하는 바로 그러한 사물 중의 몇 가지를 예로 드는 수법이다.

(예)

1. 예컨데 투구(投球)는 결석병과 신장에 좋고, 사격은 폐와 가슴에 좋으며, 가벼운 보행은 위에 좋고, 승마는 머리에 좋은 것 등과 같은 것이다.

2. 배 사과 감 등은 한국에서 많이 나는 과일이다.

x-text/html; charset=iso-8859-1" volume="0" loop="-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