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의 걸음걸이;
1. 어떤 대상물의 특징을 따서 붙인 이름.
가재걸음거위걸음계걸음까치걸음색시걸음앉은뱅이걸음
오리걸음황새걸음황소걸음.
2. 어의(어의) 및 걷는 모양에 따라 붙인 이름.
갈지자걸음네발걸음뒷걸음모걸음무릎걸음반걸음베틀걸음
비척걸음비틀걸음선걸음아장걸음앉은걸음여덟팔자걸음
자국걸음잔걸음제자리걸음종종걸음첫걸음총총걸음통통걸음
퉁퉁걸음팔자걸음한걸음화장걸음.
* 결혼 기념식의 종류.
1주년: 지혼식(紙婚式)5주년: 목혼식(木婚式)
10주년: 주석혼식(朱錫婚式) 15주년: 수정혼식(水晶婚式)
20주년: 도기혼식(陶器婚式) 25주년: 은혼식(銀婚式)
30주년: 상아혼식(象牙婚式), 진주혼식(眞珠婚式)
35주년: 산호혼식(珊瑚婚式), 비취혼식(翡翠婚式)
40주년: 녹옥혼식(綠玉婚式) 45주년: 홍옥혼식(紅玉婚式)
50주년: 금혼식(金婚式) 60주년: 다이아몬드혼식(-婚式)
* 경찰관의 급제.
순경(巡警)→ 경장(警長)→ 경사(警査)→ 경위(警衛)→ 경감(警監)→ 경정(警正)→
총경(總警)→경무관(警務官)→ 치안감(治安監)→ 치안정감(治安正監)→
치안총감(治安摠監).
* 공무원 급제
기술직 행정직
1급관리관(管理官) 관리관(管理官)
2급기감(技監) 이사관(理事官)
3급부기감(副技監) 부이사관(副理事官)
4급기정(技正) 서기관(書記官)
5급기좌(技佐) 사무관(事務官)
6급기사(技士) 주사(主事)
7급기사보(技士補) 주사보(主事補)
8급기원(技員) 서기(書記)
9급기원보(基源補) 서기보(書記補)
* 교도관 급제
교도(矯導)→ 교사(矯査)→ 교위(矯衛)→ 교감(矯監)→ 교정관(矯正官)→
교정감(矯正監)→ 교정 부이사관(矯正副理事官)→ 교정 이사관(矯正理事官)
* 중위도 지방의 높이에 따른 구름의 분류
1, 상층운(上層雲)/위턱구름: 5~13킬로메타 높이에 나타나는 구름.
권운(卷雲): 털구름, 새털구름.
권적운(卷積雲): 털쌘구름, 비늘구름, 조개구름.
권층운(卷層雲): 털층구름.
2, 중층운(中層雲)/ 중턱구름: 2~7킬로메타 높이에 나타나는 구름.
고적운(高積雲): 높쌘구름, 양떼구름.
고층운(高層雲): 높층구름.
난층운(亂層雲): 비층구름, 비구름.
3, 하층운(下層雲)/밑턱구름: 2킬로메타 이하의 높이에 나타나는 구름.
층적운(層積雲): 층쌘구름,
층운(層雲): 층구름, 안개구름.
* 국제 연합의 주요 전문 기구.
FAO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
GATT(가트)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
IAEA 국제 원자력 기구
IBRD 국제 부흥 개발 기구
IDA국제 개발 협회
IFAD 국제 연합 농업 개발 기금
IFC 국제 금융 공사
ILO국제 노동 기구
IMF국제 통화 기금
UNESCO(유네스코)국제 연합 교육 과학 문화 기구
UNIDO(유니도)국제 연합 공업 개발 기구
UPU만국 우편 연합
WHO 세계 보건 기구
WIPO 세계 지적 소유권 기구
* 군인의 계급
1, 사병(사병) 계급
이등병(二等兵)→ 일등병(一等兵)→ 상등병(上等兵)→ 병장(兵長)
2. 하사관(下士官) 계급
하사(下士)→ 중사(中士)→ 상사(上士)→ 원사(元士)
* 준위(准尉)
3, 위관(尉官) 계급
소위(少尉)→ 중위(中尉)→ 대위(大衛)
4. 영관(領官) 계급
소령(少領)→ 중령(中領)→ 대령(大領)
5. 장관(장관) 계급
준장(准將)→ 소장(小將)→ 중장(中將)→ 대장(大將).
* 구름의 종류
꽃구름눈구름뜬구름매지구름먹구름먹장구름뭉게구름비구름비늘구름
비행기구름열구름삿갓구름새털구름쌘구름쌘비구름소나기구름실구름
안개구름양떼구름조개구름털층구름
* 나이를 나타내는 말.
악관(弱冠): 20살. [예기(禮記)의 ‘이십왈약관(二十曰弱冠)’에서 나온 말.]
이모(二毛): 32살. [‘이모지년(二毛之年)’의 준말로 센 머리털이 나기 시작하는 나이라는 말.]
불혹(不惑): 40살. [논어(論語)의, ‘사십이불혹(四十而不惑)’에서 나온 말.]
지명(知命): 50살. [논어의, ‘오십이지천명(五十而知天命)’에서 온 말.]
이순(耳順): 60살. [논어의, ‘육십이이순(六十而耳順)’에서 온 말.]
고희(古稀): 70살. [두보(杜甫)의 시에 나오는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十古來稀)’에서 온말.]
* 남사당패의 여섯 가지 놀이.
풍물: 첫째 놀이로 꽹가리, 징, 장구, 날라리 따위를 치며 노는 일.
버나: 둘째 놀이로 대접돌리기.
살판: 셋째 놀이로 땅재주 광대가 두 손으로 땅을 짚고 공중제비를 넘는 일.
어름: 넷째 놀이로 줄타기.
덧뵈기: 다섯째 놀이로 탈놀음(탈춤).
덜미: 마지막 놀이로 꼭두각시놀음(인형극).
* 여러 가지의 다짐.
강다짐: 까닭 없이 남을 억누르며 꾸짖음.
군령다짐: 지난날의 군대에서, 군령을 받고 그 임무를 수행하지 못할 때 벌을 받겠다는다짐.
억지다짐: [본인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일방적으로 받는 다짐.
우격다짐: 억지로 우겨서 남에게 강요함. 또는 그런 것.
주먹다짐: ① 주먹으로 마구 때리는 것. ② 주먹심으로 윽박지르는 것.
하냥다짐: 일이 잘 안 될 경우에는 목을 베는 형법이라도 받겠다는 다짐.
* 여러 가지의 단위.
곡식, 액체---홉/ 되/ 말/ 가마
실오리, 실뭉치---꾸리/ 님/ 바람/ 올/ 잎/ 타래/ 테/ 토리
금, 은, 돈, 약재---푼/ 돈/ 냥/ 쌈/ 닢
짚, 땔나무---가리/ 강다리/ 단/ 뭇/ 전/ 조짐
묶음, 덩어리---갓/ 거리/ 동/ 두름/ 뭇/ 손/ 쌈/ 접/죽/ 켤레/ 쾌/ 톳
특정 물품---톳(김)/ 쾌(북어)/ 축(오징어)/ 채, 편거리(인삼)/ 가리(삼)/
뭇(생선)/ 모(두부, 묵)/ 기(무덤).
* 대화의 종류.
종류 대화자 주제형식
담화(談話)다수 없음없음
대담(對談)2명~다수있음없음
대화(對話)다수 없음없음
방담(放談)다수 없음없음
정담(鼎談)3명없음없음
좌담(座談)다수 있음없음
토론(討論)다수 있음있음
토의(討議)다수 있음있음
* 독서의 방법.
남독(濫讀): [계통을 세우지 않고] 닥치는 대로 아무 책이나 마구 읽음.
다독(多讀): 많이 읽음. 많은 지식을 얻을 수는 있으나 그 깊이를 깨닫기는 어렵다.
묵독(黙讀): 소리를 내지 않고 읽음.
속독(速讀): 빨리 읽음.
음독(音讀): 소리 내어 읽음.
정독(精讀): 자세히 읽음. 양서나 교과서, 전문 분야의 책들을 읽을 때의 방법이다. 깊이있는 독서이긴 하나 속도가 느리다.
통독(通讀): 처음부터 끝까지 내리읽음. 깊은 뜻은 파악하기 어렵다.
* ‘돌’의 크기에 따른 이름.
바위: 부피가 아주 큰 돌. 바윗돌.
돌덩이: 돌맹이보다 조금 큰 돌. 돌덩어리.
돌맹이: 돌덩이보다 작고 자갈보다 큰 돌.
자갈: 자잘한 돌맹이.
모래: 잘게 부수러진 돌 부수러기.
* ‘딸’에 대한 지칭
규수(閨秀): 혼기에 이른 ‘남의 집 딸’을 점잖게 이르는 말.
따님: 남을 높이어 ‘그의 딸’을 일컫는 말.
딸년: 남 앞에서 ‘자기의 딸’을 낮추어 이르는 말.
딸아이: 남 앞에서 ‘자기의 딸’을 이르는 말‘
딸자식: 남 앞에서 ‘자기의 딸’을 이르는 말.
여식(女息): ‘자기의 딸’을 남에게 점잖게 낮추어 말할 때 쓰는 말.
영애(令愛): 아주 높은 위치에 있는 사람의 딸을 지칭할 때 쓰는 말.
예) 영교(令嬌), 영녀(令女), 영양(令孃), 영원(令媛)
* 땀의 종류.
곁땀: 겨드랑이에서 나는 땀.
구슬땀: 구슬처럼 방울방울 맺힌 땀.
비지땀: 무척 힘 드는 일을 할 때 몹시 쏟아져 나오는 땀.
식은땀: ① 몸이 쇠약하여, 덥지도 않은데 병적으로 나는 땀.
② 정신의 긴장으로 나는 땀.
진땀: ① 몹시 애를 쓸 때 흐르는 땀.
② 난처한 일을 당하여 몹시 괴로울 때 나는 땀.
* 띠와 십이지
쥐띠자생(子生) 말띠 오생(午生)
소띠축생(丑生) 양띠 미생(未生)
범띠인생(寅生) 원숭이띠 신생(申生)
토끼띠묘생(卯生) 닭띠 유생(酉生)
용띠진생(辰生) 개띠 술생(戌生)
뱀띠사생(巳生) 돼지띠 해생(亥生)
* 마소(말과 소)의 나이.
하릅-- 한 살여습-- 여섯 살
두습-- 두 살 이롭-- 일곱 살
사릅-- 세 살 여듭-- 여덟 살
나릅-- 네 살 아습-- 아홉 살
다습-- 다섯 살 다불-- 열 살
* 며느리에 대한 호칭.
애가 없을 경우: 아가, 새아가, 아가야.....
애가 있을 경우: 어미야, 어멈아, 얘야.....
* 명태(明太)를 달리 일컫는 말.
강태(江太): 강원도에서 나는 명태.
건명태(乾明太): 북어.
더덕북어(~北魚): 얼부풀어서 더덕처럼 마른 북어.
동태(凍太): 겨울에 잡아 얼린 명태.
막물태(~太): 맨 끝물에 잡힌 명태.
북어(北魚): 말린 명태, 건명태.
생태(生太): 말리거나 얼리지 않은 잡은 대로의 명태.
선태(鮮太): 갓 잡은 싱싱한 명태.
황태(黃太): 더덕북어.
* 물고기의 새끼 이름.
간자미-- 가오리의 새끼고도리-- 고등어의 새끼
껄떼기-- 농어의 새끼노가리-- 명태의 새끼
동어-- 숭어의 새끼마래미-- 방어의 새끼
모롱이-- 웅어의 새끼모쟁이-- 숭어의 새끼
설치-- 배도라치의 새끼전어사리-- 전어의 새끼
팽팽이-- 열목어의 새끼풀치-- 갈치의 새끼
* 바람의 딴 이름.
동풍: 곡풍(谷風), 동부새
서풍: 유풍(飂風), 갈바람, 하늬바람
남풍: 거풍(巨風), 마파람, 경풍(景風), 마풍(麻風), 앞바람.
남동풍(동남풍): 혜풍(惠風)
남서풍(서남풍): 양풍(凉風)
북풍: 한풍(寒風), 곽망풍, 된바람, 삭풍(朔風), 호풍(胡風)
북동풍(동북풍): 염풍(炎風), 조풍(條風)
북서풍(서북풍): 여풍(麗風)
* ‘바람’의 뱃사람말.
동풍: 샛바람
서풍: 가수알바람, 갈바람
남동풍: 된마파람, 된마, 든바람, 샛마파람
남서풍: 갈바람
남남서풍: 갈마바람
북풍: 덴바람, 된바람, 뒤바람
북동풍: 높새바람, 높새, 된새바람, 된새
북서풍: 높하늬바람, 높하늬, 하늬바람(지방에 따라서는 서풍을 뜻하기도 함.)
된하늬, 마칼바람
북북동풍: 높바람.
늦바람: 빠르지 않은 바람.
* ‘비’의 종류
1, 농사와 관련된 비
꿀비, 단비, 감우(甘雨), 호우(好雨), 희우(喜雨), 맥우(麥雨), 모종비, 목비, 못비, 복비,약비, 자우(慈雨), 택우(澤雨)
2. 굵기나 세기와 관련된 비
가는비, 가랑비[絲雨, 細雨], 누리, 는개, 맹우(猛雨), 발비, 보슬비[微雨], 부슬비,
실비, 안개비, 이슬비, 작달비, 대비, 질우(疾雨), 채찍비
3. 양이나 시간과 관련된 비
개부심, 굳은비, 그믐치, 모우(暮雨) 밤비[夜雨], 보름치, 소나기[驟雨, 白雨],
소우(小雨), 억수, 억수장마, 큰비, 대우(大雨), 폭우(暴雨), 해비, 하우(夏雨)
4. 계절에 따른 비
가을비[秋雨], 가을장마, 건들장마, 겨울비[寒雨], 늦방마, 매우(梅雨), 봄비[春雨],
시우(時雨), 하우(夏雨)
5. 기타
바람비, 산우(山雨), 소우(疎雨), 우레비[宙雨], 음우(陰雨), 찬비[寒雨], 취우(驟雨)
* 빠르기표
아주 느리게-- 라르고(Largo), 렌토(L두새), 아다지오(Adagio), 그라베(Grave)
느리게-- 라르게토(Larghetto), 아다지에토(Adagieto), 안단데(Andante)
조금 느리게-- 안단티노(Andantino)
보통 빠르게-- 모데라토(Moderato)
조금 빠르게-- 알레그레토(Allegretto)
매우 빠르게-- 비바체(Vivace), 프레스토(Presto)
가장 빠르게-- 비바치시오(Vivacissimo), 프레스티시모(Prestissimo)
* 삼대 사체(史體)
기전체(紀傳體): 인물 중심으로 사건을 기술하는 역사 편찬 방법. 본기(本紀: 임금의 전기), 세가(世家: 제후의 전기), 열전(列傳: 신하의 전기 및 외국의 역사), 서(書: 사회, 문화, 경제, 제도, 천문 등의 기록), 표(각종 연대표) 등으로 나뉜다.
편년체(編年體): 연월에 따라 사건을 기술하는 역사 편찬 방법. 춘추 좌씨전(左氏傳)이 원초 형태이며, 자치통감에서 완성되었다.
기사 본말체(紀事本末體): 일정한 사건, 사항을 중심으로 그 결과를 일관해서 기술하는 역사 편찬 방법. 사건의 원인, 경과, 결과 등의 대요 파악이 용이해 오늘날의 역사책에 채택되고 있는 서술 방법이다.
* 장수를 기리는 말
60세 육순(六旬)
61세 환갑(還甲), 회갑(回甲), 화갑(花<華>甲), 주갑(周甲)
62세 진갑(進甲)
66세 미수(美壽) 70세 칠순(七旬), 고희(古稀)
71세 망팔(望八) 77세 희수(喜壽)
80세 팔순(八旬), 산수(傘壽)81세 망구(望九)
88세 미수(米壽) 90세 졸수(卒壽)
91세 망백(望百) 99세 백수(白壽)
* 설화(說話)
소설의 모태가 되는 서사 문학의 한 분야로, 신화, 전설, 민담으로 구분된다. 수많은 신화, 전설이 수록된 ‘삼국사기(三國史記)’는 설화의 보고(보고)라 할만하며, 그밖에 현존하지 않는 박인량(朴仁亮)의 ‘수이전(殊異傳)’도 대표적인 성화집이다.
신화(神話): 민족 사이에 전승되는 신적(神的) 존재와 그 활동에 관한 이야기로서, 건국신화(建國神話)와 우주신화(宇宙神話), 천체신화(天體神話) 등이 있다.
전설(傳說): 신성함이 없는 인간과 그 행위에 관한 이야기이다. 전설에는 이야기를 증거할 암석, 수목, 산천 등의 흔적이 남아 있는 특성이 있다.
민담(民譚): 신화의 신성성과 위엄성 및 전설의 신빙성과 역사성이 없고, 단지 흥미 위주로만 된 일종의 옛날이야기이다.
* 월별 주요 세시(歲時) 풍속
세시 풍속이란, 옛날부터 해마다 관례로 행하여 오던 전승적(傳承的) 행사를 말한다.
정월: 차례, 성묘, 세배, 연날리기, 널뛰기, 과일나무 시집보내기. 쥐불놀이
이월: 풍신제(風神祭), 콩볶기
삼월: 화전(花煎)놀이, 한식날 성묘하기, 활소기
사월: 연등놀이
오월: 씨름, 그네, 창포에 머리 감기
유월: 복치레[팥죽, 개장, 삼계탕 먹기], 유듀(流頭)놀이
칠월: 칠석(七夕)날 별을 보고 빌기, 백종일(百種日) 부처 공양, 호미씻이
구월: 화채(花菜), 국화전 먹기, 풍국(楓菊)놀이
시월: 고가, 성줏제, 시제(時祭)
동짓달: 팥죽 먹기
섣달: 세찬(歲饌), 묵은세배, 해지킴[守歲]
* 손가락의 이름
첫째 손가락-- 엄지손가락, 엄지, 거지(巨指), 무지(拇指)
둘째 손가락-- 집게손가락, 검지, 식지(食指), 인지(人指)
셋째 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중지(中指), 장지(長指)
넷째 손가락-- 약손가락, 약지(藥指), 무명지(無名指)
다섯째 손가락-- 새끼손가락, 소지(小指), 계지(季指)
* 손님의, 뜻에 따른 구별.
단골손님: 늘 정해두고 거래하는 관계에 있는 손님.
뜨내기손님: 단골이 아닌, 어쩌다가 한두 번 찾아오는 손님.
밤손님: 도둑을 빗대어 하는 말.
백년손님: 언제까지 깍듯이 대해야 할 어려운 손이란 뜻으로, ‘사위’를 이르는 말.
바깥손님: 남자손님.
안손님: 여자 손님.
큰손님: 후하게 대접해야 할 귀한 손님.
* 수사법의 종류와 실례
1, 비유법: 표현하려는 대상을 다른 대상에 빗대어 나타내는 수사법.
직유법: 예) 내 누님 같이 생긴 꽃이여(처럼/ 같이)
은유법: 예) 네 마음은 호수/ 오월은 계절의 여왕이다
풍유법: 숭어가 뛰니까 망둥이도 뛴다.
대유법: 빵으로만 살 수 없다./ 요람에서 무덤까지
의인법: 돌담에 속삭이는 햇살
2, 강조법: 뜻을 강하게 하거나 선명한 인상을 주기 위한 수사법.
과장법: 쥐꼬리만한 월급/ 우레와 같은 박수
반복법: 산에는 꽃이 피네, 꽃이 피네
영탄법: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
3. 변화법: 문장의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한 수사법.
도치법: 슬프도다. 나라의 운명이.
인용법: 십 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말대로, 옛 자취라고는 어디서고 찾을 수가 없었다.
설의법: 무슨 이익이 있으랴?
경구법: 헤엄 잘 치는 놈이 물에 빠져 죽는다.
대구법: 달을 보면 옛 생각, 별을 보면 임 생각.
‘아내’를 일컫는 말
남에게 자기의 아내를 일컫는 말.
마누라, 안사람, (우리)집사람, 내자(內子), 실인(室人), 처(妻)
자기 아내나 결혼한 여자를 소홀히 일컫는 말.
여편네, 계집
남의 아내* 를 높여 일컫는 말.
부인(夫人), 영부인(令夫人), 사모님
※ ‘사모님’은 본래 스승의 아내를 높여 일컫는 말이며, ‘영부인’은 흔히 국가 원수 등의 아내를 일컫는 말이다.
* ‘아버지와 어머니’를 일컫는 말
자기 아버지와 어머니를 일컫는 말
① 일반적으로 쓰임-- 아버지, 어머니
② 살아계신 부모를 남에게 이를 때
부모보다 항렬이 높은 어른에게-- 아비, 어미
그 외에-- 아버님, 어머님, 부친, 모친, 가친, 가자, 엄친, 자당, 엄부, 자모
③ 돌아가신 부모를 남에게 이를 때-- 선친(아버지), 선자(어머니)
④ 지방(紙榜)을 쓸 때-- 선고(아버지), 선비(어머니)
남의 ‘아버지와 어머니’의 높임-- 엄친, 자당, 춘부장(춘장, 대인, 춘당), 훤당
그 외에 일컬음
① 유아어-- 아빠, 엄마
② ‘어버지와 어머니’를 함께 이르는 말-- 어버이, 부모, 양친, 쌍친
③ 성김자 글월문자 심을식입니다.
* ‘어림수’에 대하여
‘어림잡아 쓰는 말’로서의 어림수
뜻(쓰임)관형사 수사
하나나 둘쯤 한두한둘
둘쯤두어두엇
둘이나 셋쯤 두세두셋
두셋이나 넷쯤 두서너두서넛
셋이나 넷 서너서넛
서넛이나 너덧 - 서너너덧
넷쯤- 너덧
넷이나 다섯 - 네댓(×너댓)
넷이나 다섯쯤 - 너더댓
다섯쯤- 댓
다섯이나 여섯 - 대여섯(=대엿)
여섯이나 일곱 - 예닐곱
일곱이나 여덟 - 일고여덟
여덟이나 아홉 - 엳아홉
열이 좀 넘음여남은 -
예순이 좀 넘음예수남은 -
※ ‘-’로 표한 것은 수사를 관형사로, 또는 관형사를 수사로도 두루 쓰이는 경우임.
‘수학적인 용어’로서의 어림수
실수 24,249 24,640 24,025
올림 25,000 25,000 24,000
버림 24,000 24,000 24,000
반올림 25,000 25,000 24,000
* 오행(五行)
금(금)-- 서쪽, 가을, 흰빛을 상징함.
목(목)-- 동쪽, 봄, 푸른빛을 상징함.
수(수)-- 북쪽, 겨울, 검은빛을 상징함.
화(화)-- 남쪽, 여름, 붉은빛을 상징함.
토(토)-- 중앙, 네 계절마다 마지막 달의 18일간씩 (사계삭), 누른빛을 상징함.
※ 상극(相剋)과 상생(相生)의 오행설
오행이 차례로 물고 돌아가듯 서로를 이기거나 생겨나게 하는 갈등과 조화의 관계로서 우주를 형성한다고 하는 설. 갈등 관계를 ‘상극’이라고 하고, 조화의 관계를 ‘상생’이라고 한다.
오행 상극:
① 금극목(金克木)-- 쇠는 나무를 이김.
② 목극토(木克土)-- 나무는 흙을 이김.
③ 토극수(토극수)-- 흙은 물을 이김.
④ 수극화(수극화)-- 물은 불을 이김.
⑤ 화극금(화극금)-- 불은 쇠를 이김.
오행 상생:
① 금생수(金生水)-- 쇠에서 물이 생김.
② 수셍목(水生木)-- 물에서 나무가 생김.
③ 목생화(木生火)-- 나무에서 불이 생김.
④ 화생토(火生土)-- 불에서 흙이 생김.
⑤ 토생금(土生金)-- 흙에서 쇠가 생김.
* [전통적인‘ 우비(雨備)의 종류
머리에 쓰는 것-- 갈모, 전모, 갈삿갓[우립]‘
입거나 등에 덮는 것-- 우삼, 유삼, 도롱이[누역], 접사리, 우의.
손에 들고 위를 가리는 것-- 우산.
* ‘웃음’을 나타내는 말
크게 소리내어 웃는 웃음: 깔깔웃음, 껄껄웃음, 너털웃음.
소리 없이 웃는 웃음: 눈웃음.
우습지 않는데 웃는 웃음: 선웃음, 쓴웃음, 억지웃음, 헛웃음.
남을 조롱하는 웃음: 비웃음, 코웃음.
* 음력의 날과 달의 일컬음
날: 초하루(1일)초이틀(2일)초사흘(3일)초나흘(4일)초닷새(5일)초엿새(6일)
초이레(7일)초여드레(8일)초아흐레(9일)열흘(10일)열하루(11일)열이틀(12일)
열사흘(13일)열나흘(14일)열닷새(15일)열엿새(16일)열이레(17일)
열여드레(18일)열아흐레(19일)스무날(20일)스무하루(21일)스무이틀(22일)
스무사흘(23일)스무나흘(24일)스무닷새(25일) 스무엿새(26일)스무이레(27일)
스무여드레(28일)스무아흐레(29일)
그믐(그 달의 마지막 날, 따라서 28일이나 29일이 ‘그믐’이 될 수도 있음)
예) 이 달은 스무여드레가 그믐이다.
달: 정월(1월)동짓달(11월)섣달(12월)
그 외의 달은 양력과 같음.
* 잠의 종류
1. 어떤 대상물과 비교하여 붙인 이름.
개잠, 나비잠, 등걸잠, 말뚝잠, 새우잠, 토끼잠
2. 어의(語意)에 따라 붙인 이름.
개잠(改~), 귀잠, 꾀잠, 낮잠, 늦잠, 단잠, 두벌잠, 새벽잠, 선잠, 수잠, 발칫잠, 밤잠,
아침잠, 여윈잠, 이승잠, 일잠, 초저녁잠, 풋잠, 한뎃잠, 한잠, 헛잠.
* 장마의 종류.
가을장마: 가을에 여러 날 줄곧 내리는 장마.
건들장마: 초가을에 비가 오다 말다 하는 장마.
늦장마: 계절이 지나서 지는 장마.
마른장마: 비가 거의 오지 않아서 강우량이 아주 적거나 도는 맑은 날이 계속되는 장마.
석달장마: 여러 날 계속하여 내리는 장마.
억수장마: 여러 날을 두고 억수로 내리는 장마.
* ‘죽다’의 뜻으로 쓰이는 여러 단어.
개인적 관계에 있는 사람의 죽음을 높일 때.
거두다, 세상을 뜨다, 사망하다, 영면(永眠)하다. 몰(歿)하다, 졸(卒)하다,
유명(幽明)을 달리하다, 돌아가다, 별세(別世)하다, 작고(作故)하다, 타계(他界)하다,
운명(殞命)하다.
위대한 인물의 죽음.
서거(逝去)하다, 훙서(薨逝)하다, 훙거(薨去)하다.
임금의 죽음.
붕어(崩御)하다, 승하(昇遐)하다.
승려의 죽음.
입적(入寂)하다, 입멸(入滅)하다. 귀적(歸籍)하다, 멸도(滅度)하다, 열반(涅槃)에 들다.
아내의 죽음.
단현(斷絃)하다.
죽음을 속되게 하는 말.
끝장나다. 뻗다, 뒈지다. 물고(物故)나다, 고꾸라지다.
* 여러 가지의 짐작.
겉짐작: 겉으로만 보고 헤아리는 짐작, 겉어림.
속짐작: 마음속으로 하는 짐작, 속어림, 속요량.
어림짐작: 어림으로 대강 헤아리는 짐작.
걸음짐작: 걸음으로 길이나 거리를 헤아리는 일.
지레짐작: 미리 넘겨짚어 어림으로 헤아림.
* 우리나라의 별칭.
계림(鷄林): ‘신라(新羅)’의 딴이름.예) 계림유사(鷄林類事)
근역(槿域): ‘무궁화가 많은 곳’이라는 뜻. 근화향(槿花鄕)
동국(東國): 중국에 대하여 동쪽에 있다는 뜻.예)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동방예의지국(東方禮義之國): '예의가 바른 동족 나라‘.
배달나라: 단군 신화의 관련시켜 우리나라를 이르는 말.
좌해(左海): ‘발해의 왼쪽에 있는 나라.’의 뜻.
진단(震檀/壇): ‘진(震)’은 천둥 소리가 나는 동쪽 방울, ‘단(檀)’은 단군을 뜻함.
예) 진단학회(震檀學會).
청구(靑丘): ‘동방의 땅’이라는 뜻.예) 청구영언(靑丘永言)/ 청구야담(靑邱野談).
해동(海東): ‘발해의 동족에 있는 나라’라는 뜻.
예) 해동가요(海東歌謠)/ 해동공자(海東孔子)
* 추론의 방법
논거를 제시하여 명제가 짐실임을 밝히는 추리과정.
귀납법: 개별적 사실을 전제로 하여 일반적인 사실 내지 현상으로서의 결론을 내리는 방 법.예) 공자도 죽었다. 석가도 죽었다. 예수도 죽었다(개별적 사실).
연역법: 일반적인 사실로부터 특수한 사실을 추리해 내는 방법.
예) 모든 사람은 죽는다(일반적 사실) 공자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공자는 죽는다(특수한 사실).
* 토의의 종류
심포지엄(symposium): 어떤 특정한 주제에 대하여 3~·6명의 전문가 미리 원고를 준비하여 강연식으로 발표하고, 이를 바탕으로 참석자와 청중이 질의, 응답하는 토의 방식.
포럼 디스커션(forum discussion): 사회자의 지도 아래 한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이 간략한 발표를 한 다음, 청중이 그에 대하여 질문하면서 토의를 전개하는 방법. ‘포럼’은 로마 시대 도시에 있던 ‘광장’에서 유래된 말.
패널 디스커션(panel discussion): 특정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명하기 위해 이에 대해 관심이나 정보, 경험 등을 가진 몇 사람을 선출하여, 청중 앞에서 의견을 발표하고 함께 생각하는 공동 토의.
원탁회의(圓卓會議): 10명 안팍의 참가자들이 원탁에 둘러앉아 동등한 입장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는 방법. 대개는 사회자가 참여하는 청중 없이 함.
*편지 겉봉의 수신인 뒤에 쓰이는 말.
윗사람-- 귀하(貴下), 궤하(机下), 존하(尊下), 좌전(座下), 시사(侍史), 승감(升鑑).
평교간-- 귀하, 아형(雅兄), 인형(仁兄), 족하(足下).
아랫사람-- 앞, 군(君)에게.
기관이나 단체-- 귀중(貴中), 앞.
스승-- 님께, 함장(函丈).
면식이 없을 경우-- [윗사람에게] 귀하.
[아랫사람에게] 앞.
※ [고향의] 부모일 경우--[자기 이름 뒤에] 본제입납(本第入納).
* 풍력 계급표
계급명칭지표면의 특징 및 풍속(m/sec)
0 고요연기가 곧바로 위로 올라감(0.0~0.2)
1 실바람연기가 풀려서 오르고 해면은 물고기 비늘 모양의 잔물결이
일어남((0.3~1.5)
2 남실바람바람이 얼굴에 느껴지고 나뭇잎이 흔들리며 풍향계가 움직임
(1.6~3.3).
3 산들바람나뭇잎과 잔가지가 일정하게 흔들리고 깃발이 가볍게 휘날림
(3.4~5.4).
4 건들바람먼지가 일고 종잇조각이 날리며 나무의 잔가지가 움직임(5.5~7.9).
5 흔들바람작은 나무 전체가 흔들리고 작은 물결이 호수에 생김(8.0~10.7).
6된바람 큰 나뭇가지가 흔들리고 우산 쓰기가 힘들며, 큰 물결이 일기 시작함(10.8~13.8).
7센바람나무 전체가 흔들리고 걷기가 힘들며 해상의 물마루가 부서짐(13.9~17.1).
8큰바람잔가지가 꺾이고 걷기 힘들며 해상의 풍랑이 높아지고 물보라가읾(17.2~20.7).
9 큰센바람 건물들에 약간 피해가 있으며, 물보라가 소용돌이 침.(20.8~24.4).
10노대바람나무가 뽑히고 건축물에 상당한 피해가 있음(24.5~28.4).
11왕바람건축물에 큰 피해가 있음(28.5~32.6).
12싹쓸바람매우 큰 피해가 발생하며 배의 침몰이 염려됨(32.7이상).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