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창작론

소설(1) : 특성 · 인물 배경 · 문체

글길_문학 2009. 12. 2. 15:31

소설(1) : 특성 · 인물

 

  소설이란 ?

 소설은 현실 세계에서 있을 법한 일을 상상으로 꾸며 낸 가공(架空)의 허구적 이야기로, 독자에게 감동

   을 주고, 인생의 진실을 표현하려는 산문 문학의 한 장르이다.

 

 

  특성

♠ 허구성(虛構性)

   소설은 실제 생활에서 소재를 취하지만, 작가의 상상력에 의하여 새롭게 꾸며진 이야기, 픽션(fiction)

       이다. 자연과 인생을 반영한 가공적(架空的) 이야기요, 허구의 세계인 것이다.

♠ 산문성(散文性)

   소설은 주로 서술 · 대화 · 묘사에 의하여 기술되는 대표적인 산문문학이다.·

♠ 진실성(眞實性)

   소설은 상상력에 의해 꾸며지는 허구의 세계이지만, 그것을 통하여 인생의 참모습과 진실을 추구하며,

       인생의 의미를 깨닫게 해준다.

♠ 서사성(敍事性)

   소설은 인물, 사건, 배경을 갖추고 일정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행되는 이야기의 형식을 지닌 문학이

       다. 고대의 서사시가 쇠퇴함에 따라 나타난 것이 근래의 서사문학으로 그 대표적인 것이 소설이다.

♠ 예술성(藝術性)

   소설은 형식미와 예술미를 갖추어야 한다. 소설이 인간의 사상을 표현하고 인간성을 탐구한다는

     점에서는 철학성이 있지만, 소설은 근본적으로 형상물이며 창조적 표현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예술성을 갖는다.

♠ 모방성(模倣性)

   소설은 현실을 변형시킨 것으로 유추된 세계이다. 따라서 소설은 총체적으로 인간을 탐구하고 인생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문학이다.

   

 

  인물(성격)

⑴ 인물이란 ?  →  일차적으로는 소설 속에 등장하는 사람을 가리키지만, 그 인물을 특징짓는 언어,

     습관, 태도, 욕망, 도덕 등을 포함한 개성으로서의 특유한 성격까지도 포함한다. 특히 근대소설에서

     는 인간성의 탐구와 새로운 인간형의 창조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며, 따라서 사건보다 인물에 중점

     을 두고 있다.

⑵ 인물의 중요성

   ♠ 인물은 행위(행동)하는 주체로서, 사건의 담당자이다.

   ♠ 인물의 사고와 행동, 인물과 인물 사이의 갈등을 통해 주제가 실현된다.

   ♠ 인물, 즉 성격의 창조가 잘 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소설의 성패가 결정된다.

⑶ 인물의 유형

   ♠ 역할 수행에 따른 유형

      ① 주동 인물 : 작가가 의도하는 주제의 방향에 따르는 인물로, 작품의 주인공.

      ② 반동 인물 : 작가가 의도하는 주제의 방향에 역행하는 인물로, 작품 속에서 주인공에 대립하거나

                                      적대적인 인물

   ♠ 중요도에 따른 유형

      ① 주요 인물 : 주인공, 또는 그에 버금가는 인물.

      ② 부수적 인물 : 주인공을 돋보기에 하면서도 소설이 배경으로 삼는 시대와 사회의 총체적 모습을

                                  나타내는데 주된 기능을 하는 인물           예> <춘향전>의 월매와 방자

   ♠ 성격 변화의 양상에 따른 유형

      ① 평면적 인물 : 작품 전체를 통하여 성격이 변하지 않고, 주위의 어떠한 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인물이다. '정적 인물'이라고도 하며 독자에게 쉽게 파악되고 오랫동안 기억되며, 주로 '고전소

              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② 입체적 인물 : 작품이 진행되면서 성격이 발전하고 변화하는 인물이다.  '극적 인물', '발전적

                인물'이라고도 하며, 현대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인물의 성격에 따른 유형

      ① 전형적 인물 : 일정한 집단 · 연령층 · 직업 · 계층 · 성별 등을 대표하는 인물을 말한다. 전형적

              인물은 구체적 인물의 개별적 성격을 지니면서 보편적인 성격을 함께 지닌다.

           예> <춘향전>의 춘향 → 열녀              <흥부전>의 놀부 → 악인

      ② 개성적 인물 : 자기만의 독자적 성격을 가진 인물로, 현대소설에 보이는 다양한 개성적 인물들이

              이에 속한다.

⑷ 인물(성격)의 제시 방법

   ♠ 직접적 제시(해설적, 분석적) 방법

      ㉠ 서술자가 직접 등장 인물의 성격, 특성, 심리 상태 등을 이야기(telling)하는 방법으로 편집자적,

                          해설적, 논평적인 성격을 띰.

      ㉡ 인물의 성격을 분석해서 설명을 해주기 때문에, 추상적인 설명으로 흐르기 쉬운 단점이 있다.

   ♠ 간접적 제시(극적) 방법

      ㉠ 서술자가 인물의 성격을 직접 말하지 않고, 인물의 행동이나 대화 등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보여

                 주는(showing) 방법으로 입체적이고 장면적임.

      ㉡ 설명보다는 묘사에 치중되며, 작가의 견해를 나타내는 데는 다소 불편함.

⑸ 인물의 창조 방법

      실제 인물

        소  설  화

    인물의 제시

  새로운 인간의 창출

* 소설가 자신 
* 실제로 경험한 세계에서의 여러 인물들

 

* 허구화
* 여러 인물의 조합
* 작가의 세계관의 영향
* 사건, 배경의 조화

 

* 전지적 작가 시점 - 직접적 서술
* 제한적 시점 - 간접적 묘사

 

* 주제의 호응, 조화
* 인물간의 갈등
* 근대 소설에서는 개성적, 입체적 인물 중시

 

 

 

 

 소설(2) : 배경 · 문체

 

  배  경

⑴ 개념

   배경이란, 소설 속에서 인물이 활동하고 사건이 일어나는 구체적인 시간과 공간을 가리킨다.

⑵ 배경의 구성 요소

   ♠ 시간 : 인물이 행동하고 사건이 일어나는 기간이나 시대를 말하며, 시간에 배경의 중점을 둔 소설은

             주로 시간의 순서에 따라 사건이 발생하고, 주인공의 운명이 변화해 나가는 것으로 그린다.

   ♠ 공간 : 행동과 사건이 일어나는 자연 환경이나 생활 환경을 말하며, 공간에 배경의 중점을 둔 소설은

             시간 의식이 불분명한 대신에 환경과 갈등 관계에 있는 인물의 성격을 그린다.

⑶ 배경의 종류

   ♠ 자연적 배경 : 자연 현상이나 자연 환경으로 된 배경으로, 일정한 분위기와 정조를 만들어낸다.

             예>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 - 낭만적 자연 환경

   ♠ 인위적 배경(사회적 배경) : 인간에 의해 이루어진 사회적 환경이나 역사적 시대 등으로 된 배경

         이다. 소설의 주제를 부각시키고, 인물의 성격과 심리, 구성의 전개, 소설적 분위기의 조성에

         알맞도록 꾸며진다.

             예> 박지원의 <양반전>은 신분 질서의 변동이 일어났던 조선 후기의 역사적 현실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은 돈을 주고 양반을 사려고 했으나 양반의 부패상을 알고 양반이

                     되려는 것을 포기했던 부자의 행동에 필연성과 사실성을 부여한다.

   ♠ 심리적 배경 : 인물의 의식 속에서 형성되는 배경으로 현대소설에서 특히 중요하다.

             예> 이상의 <날개>에서 주인공이 거주하는 공간인 '골방'은 무기력하게 살아갈 수밖에 없는

                             주인공의 심리 상태가 반영된 공간이다.

 

⑷ 배경의 역할

   ♠ 작품의 분위기나 정조를 형성한다.

   ♠ 주제를 뚜렷하게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 인물과 행동 및 사건을 생생하고 사실적으로 보이게 하며, 신빙성을 높여주기도 한다.

   ♠ 인물의 심리 상태나 사건 전개에 대하여 암시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 배경은 주로 묘사에 의해 설정되며 현장감을 유발한다.

   ♠ 주인공의 의식에 영향을 주기도 하며, 제약 조건이 되기도 한다.

   ♠ 배경 그 자체로서 상징적인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⑸ 배경의 의의

   ♠ 작품의 의미나 주제와 깊이 관련됨.

   ♠ 계절적 배경의 상징적 의미

         ㉠ 봄 : 탄생, 만남

         ㉡ 여름 : 성숙, 결혼

         ㉢ 가을 : 죽음, 이별

         ㉣ 겨울 : 소멸, 시련

   ♠ 역사소설이나 시대소설에서는 특히 배경이 중요한 역할을 함.

   ♠ 자연주의 소설에서는 사회적 배경이 중시됨.

    

 

  문  체

⑴ 개념

      문체란, 작가가 언어를 사용하는 독특한 방식을 말한다. 작가의 사상이나 감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어휘, 조사법(措辭法), 수사법, 기타 개성적인 표현방식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⑵ 문체의 요소

   ♠ 서술(敍述) : 설명하는 문장으로, 인물이나 배경 등을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방식이다. 서술은

        해설적이고 추상적이며 요약적인 표현으로서, 소설을 출발시키고 그 템포를 빨리 진행시킨다.

   ♠ 묘사(描寫) : 작가가 객관적인 위치에서 인물,배경,장면 등을 구체적으로 그려내어 이미지를 생생

       하게 재현시켜 준다. 고대소설이 서술 중심이라면, 근대소설은 묘사의 수법을 본격적으로 사용함.

   ♠ 대화(對話) : 등장인물의 말로서, 사건의 전개와 인물의 행동 및 심리를 드러내는 기능을 가진다.

⑶ 작가와 문체

      문체는 작가의 개성의 표현이다. 작가는 작품의 주제와 내용을 구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자신의 개성적인 문체를 사용한다.

'•─‥‥소설♡창작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의 전개 방법  (0) 2009.12.02
소설(3) : 갈등 · 구성 · 어조  (0) 2009.12.02
순수문학의 진의와 휴머니즘  (0) 2009.12.02
소설을 왜 오래된 농담이라 하는가  (0) 2009.12.02
소설과 허구  (0) 2009.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