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나리오 용어 모음
S#(scene number) : 장면 번호
NAR.(narration) : 해설
F.I.(fade-in) : 화면이 점차 밝아 옴. 한 장면의 시작 때 사용. 용명
F.O.(fade-out) : 화면이 점차 어두워 짐. 한 장면이 끝날 때 사용. 용암
O.L.(over-lap) : 하나의 장면 위에 다른 장면이 겹치면서 장면이 전환되는 것
PAN(panning) : 카메라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는 것 (경치, 건물 등을 찍을 때)
N.G.(no good) : 촬영에 실패한 경우
E.(effect) : 효과음
콘티뉴이티(continuity) : 영화의 현장용 촬영 대본. '콘티'라고도 함.
타이틀(title) : 자막
인서트(insert) : 삽입 화면. 장면과 장면 사이에 그림, 사진, 편지 등이 끼어드는 것
C.U.(close-up) : 어떤 대상이나 인물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찍는 것
D.E.(double-exposure) : 이중 노출. 하나의 화면에 다른 화면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
겹치는 것(O.L.)이 아니라 좌우, 또는 상하로 나타남.
T.U.(track-up) : 피사체를 향해가며 하는 촬영
T.B.(track-back) : 피사체에서 후퇴하면서 하는 촬영
크랭크 인(crank-in) : 촬영 시작
크랭크 업(crank-up) : 촬영 완료
스탠드 인(stand-in) : 대역
앵글(angle) : 카메라의 촬영 각도
스크립터(scripter) : 현장 기록계
C.B.(cut-bak) : 다른 화면을 번갈아 대조시키는 것. 두 사람의 얼굴이나 어떤 행동을
빨리 빨리 순간적으로 번갈아 대조시켜 극적 긴박감을 고조시킴.
플래시 백(flash-back) : 순간적인 짧은 화면과 화면을 이어서 하나의 뜻을 가지게 하는
기법. 격렬한 심리 변화를 나타낼 때 쓰임.
모브 신(mob scene) : 군중 장면
쇼트(shot) : 촬영된 한 장면. 커트(cut)라고도 함. 이것이 모이면 신(scene)이 됨.
몽타주(montage) : 각 쇼트를 한 데 모아 편집하여, 한 편의 영화적 시간과 공간을
조성하는 기법.
내러타지(narratage) : narration과 montage와의 합성어. 화면 밖의 소리로 해설을 넣는
방법. 회상 장면에 많이 쓰임.
I.I.(iris-in) : 화면 중앙에서 점점 확대해 가는 기법.
I.O.(iris-out) : 화면 중앙으로 점점 작게 줄여가는 기법.
로케이션(location) : 야외(현지) 촬영. 줄여서 '로케'라고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