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적 체질에 대하여 15. 문학적 체질에 대하여 이승우 한방에서는 사람의 체질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태어날 때 자기 체질을 타고 난다고 하고, 타고 난 체질은 바꾸기가 어렵다고도 한다. 타고 난 체질은 용모와 성격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데, 가령 이런 식이다. 태양인은 목덜미가 굵고 실하며 머리가 크고 엉덩이가 작.. •─‥‥소설♡창작론 2009.12.02
문체의 개념 문체의 개념 문체란 '글을 쓰는 스타일'을 말합니다. 즉 글쓴이의 개성적 문장 표현을 의미하는 거죠. 문장에 드러난 글쓴이의 개성이나 그만의 고유한 문장의 특성을 말하는 것으로서 다른 문장과의 단순한 차이점이나 특성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오직 그 사람만이 쓸 수 있는 고유한 품격으로서.. •─‥‥소설♡창작론 2009.12.02
작가가 되기 위해 기본기를 갖추어라, 는 말은 무슨 뜻인가? 물음> 작가가 되기 위해 기본기를 갖추어라, 는 말은 무슨 뜻인가? 1.작가의 기본기는 우선 그 자신이 쓰려고 하는 소설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되어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소설에 대한 일반 독자의 이해와 작가지망생의 소설 이해는 많이 달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접근 방법의 논리적 차이뿐 아니.. •─‥‥소설♡창작론 2009.12.02
고전소설과 현대소설의 차이 고대 소설 주제 : 권성징악 구성 : 순행적 설화체 문체 : 운문적이며 상투어가 많음, 문어체 인물 : 전형적, 유형적 사건 : 비현실적, 전기적, 우연적 배경 : 비현실적, 추상적, 중국이 많음 표현 : 설명체, 직유, 과장, 관념적 결말 : 해피엔딩 체제 : 주인공의 일대기 2. 현대 소설 주제 : 새 인간형의 탐구 .. •─‥‥소설♡창작론 2009.12.02
한국 현대 소설의 흐름 한국 현대 소설의 흐름 현대소설사(현대 소설의 조망과 흐름) 우리의 현대 소설사를 기술할 때 항상 논의되는 것이 기점(起點)에 관한 문제이다. 그리고 최초의 신소설 '혈의 누'가 발표된 1906년부터 현대 소설의 기점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이광수의 '무정'이 발표된 1917년부터 기산(起算)할 것인가가 .. •─‥‥소설♡창작론 2009.12.02
현대소설과 문체의 중요성 현대소설과 문체의 중요성 김원우 (소설가) 근대 내지 현대소설의 출발점은 지금으로부터 크게 봐서 400년 정도밖에 안 됩니다. 영국에서 17세기부터 근대소설이라고 부를 만한 이름이라는 양식의 문학이 싹트기도 했습니다. 일종의 천박한 상놈의 문학이라고 해도 좋은 일상 생활을 그리는 독특한 장.. •─‥‥소설♡창작론 2009.12.02
글의 전개 방법 글의 전개 방법 주제가 정해지면 주제에 적합한 내용 전개의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 설명의 방법 ◇ 분류:일정한 기준을 정해 나누어 다른 무리와 구별하는 것. -▷동물을 식성대로 분류하면, 육식과 채식, 잡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 분석:사물의 구성요소로 나누는 것 -▷얼굴을 분석하면 눈, .. •─‥‥소설♡창작론 2009.12.02
소설(3) : 갈등 · 구성 · 어조 소설(3) : 갈등 · 구성 · 어조 갈 등 ♠ 갈등이란 ? ⇒ 소설이나 희곡 등에서 등장 인물이 겪게 되는 대립적 관계로서, 인물의 심리나 인물 간에 어떤 정서나 의견이 서로 얽히어 있는 것을 말한다. ♠ 갈등의 기능 ⇒ 갈등은 인물의 정신 생활을 혼란하게 하고 내적 조화를 파괴하기도 하면서, 결국 주.. •─‥‥소설♡창작론 2009.12.02
소설(1) : 특성 · 인물 배경 · 문체 소설(1) : 특성 · 인물 소설이란 ? 소설은 현실 세계에서 있을 법한 일을 상상으로 꾸며 낸 가공(架空)의 허구적 이야기로, 독자에게 감동 을 주고, 인생의 진실을 표현하려는 산문 문학의 한 장르이다. 특성 ♠ 허구성(虛構性) 소설은 실제 생활에서 소재를 취하지만, 작가의 상상력에 의하여 새롭게 꾸.. •─‥‥소설♡창작론 2009.12.02
순수문학의 진의와 휴머니즘 순수문학의 진의와 휴머니즘 이태동 1 김동리는 한국 시에서의 서정주처럼 소설 분야에서 토착적이고 민속적인 소재를 완전한 현대적 소설 미학으로 수용해서 민족 문학의 전통을 확립하고 확대시킨 작가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들은 그의 문학 작품 가운데서 신라 때부터 전승되어 온 민족 신화의 정.. •─‥‥소설♡창작론 2009.12.02